돌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자



돌의 종류와 특징

아래에 돌의 종류를 지질학적 분류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돌은 크게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나뉘며, 각각의 종류와 특징도 다릅니다.



1. 화성암 (Igneous Rocks)



지하의 마그마가 식어서 생긴 암석입니다.


● 심성암 (Plutonic rocks)

→ 마그마가 땅속 깊은 곳에서 서서히 식어 생성된 암석 (결정 입자 큼)

• 화강암 (Granite): 건축, 조경에 많이 쓰임

• 섬록암 (Diorite)

• 반려암 (Gabbro)

• 감람암 (Peridotite): 지구 맨틀 구성

• 생성암 (Pegmatite): 보석 및 광물 포함 가능



● 화산암 (Volcanic rocks)

→ 마그마가 지표 가까이 혹은 밖에서 급속히 식어 형성 (결정 작음)

• 현무암 (Basalt): 제주도 주암석

• 안산암 (Andesite)

• 유문암 (Rhyolite)

• 스코리아 (Scoria): 다공성, 붉은색

• 응회암 (Tuff): 화산재가 굳은 것

• 파미스(석영질 부석, Pumice): 가볍고 다공성



2. 퇴적암 (Sedimentary Rocks)


모래, 진흙, 생물의 유해 등이 쌓여 굳어진 암석입니다.


● 쇄설성 퇴적암 (Clastic rocks)

• 사암 (Sandstone): 모래가 굳어 생성

• 역암 (Conglomerate): 둥근 자갈이 굳은 돌

• 이암 (Shale): 진흙이 굳은 암석, 쉽게 벗겨짐

• 실트암 (Siltstone): 이암보다 입자가 조금 큼

• 머드스톤 (Mudstone): 점토와 실트 혼합물


● 화학적 퇴적암 (Chemical sedimentary rocks)

• 석회암 (Limestone): 바다 생물체 껍데기 포함

• 돌로마이트 (Dolomite): 석회암과 유사, 마그네슘 함유

• 암염 (Rock salt): 소금 결정체

• 석고암 (Gypsum rock): 건축 재료로 사용됨

• 규암 (Chert): 실리카 풍부한 암석, 날카로움


● 유기적 퇴적암 (Organic rocks)

• 석탄 (Coal): 식물 유기물 압축

• 초크 (Chalk): 미세한 석회질 생물체 잔해

• 석유암 (Oil shale): 석유 생성 가능한 유기물 풍부



3. 변성암 (Metamorphic Rocks)


기존 암석이 고온·고압을 받아 성질이 변한 암석입니다.


● 엽리 구조 (층 모양 구조) 암석

• 편암 (Schist): 은빛 비늘 모양, 운모 풍부

• 편마암 (Gneiss): 화강암이 변형된 것

• 슬레이트 (Slate): 이암이 변성된 것, 벽돌로 사용

• 필라이트 (Phyllite): 슬레이트보다 광택 있음


● 비엽리 구조 암석

• 대리암 (Marble): 석회암 변성, 조각상 재료

• 규질편암 (Quartzite): 사암 변성

• 혼펠스 (Hornfels): 접촉변성에 의해 생성

• 녹색편암 (Greenschist): 저온·저압 변성 조건

• 청색편암 (Blueschist): 고압에서 형성



4. 기타 특수한 돌 종류

• 오팔 (Opal): 규산염 광물, 반보석

• 자수정 (Amethyst): 보라색 석영

• 홍옥수 (Carnelian): 붉은 보석

• 활석 (Talc): 매우 부드러움, 분말재

• 형석 (Fluorite): 형광성이 있음

• 흑연 (Graphite): 연필심 재료

• 석면 (Asbestos): 내열성이 있으나 유해

• 암염(소금돌): 식용소금의 원천

• 라피스라줄리: 고대 장신구에 사용된 청금석

• 사문석 (Serpentine): 연녹색, 장식석으로 사용



부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분류

• 조암 광물: 암석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 (예: 석영, 장석, 각섬석 등)

• 건축석재: 화강암, 대리암, 사암 등은 인테리어·건축에 주로 사용

• 보석류: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은 단단하고 광택이 뛰어남

• 풍화암: 표면에서 침식·풍화로 인해 부서진 암석



댓글 쓰기

다음 이전